2025년 국내 포털사이트 점유율
2025 한국 포털사이트 비교! 점유율 순위, 장단점, 검색 트렌드
2025 포털사이트 점유율을 살펴보면, 다음·네이트 등 토종 포털의 검색 점유율이 1~3%대 미만까지 떨어졌습니다. 인공지능(AI) 신기술 도입이 늦어지며 경쟁에서 밀려난 것으로 분석되며, 해외 검색 엔진이 국내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우며서 이같은 현상이 야기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은 2025 포털사이트 점유율과 장단점 및 소비자 트랜드에 대해서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네이버는 점유율 약 57%대로 여전히 1위를 기록하고 있지만 상반기 약 9%포인트 하락하며 구글과의 격차가 줄어드는 추세이고, 구글 점유율은 33%대로 진입하면서 네이버에 이어 2위로 추격하고 있습니다. MS Bing은 AI 기능 강화를 통해 4%대 돌파에 근접하였고, 다음은 3%대 수준에 머무르며 토종 포털로서 입지가 축소되는 상황입니다. 줌과 같은 중소 포털은 점유율이 1%대 미만으로 점유율이 미미합니다.[출처: biz.chosun.com, mk.co.kr, v.daum.net]

각 포털사이트는 각기 다른 기술 기반, 콘텐츠 전략, 서비스 생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국내 포털사이트 5대(네이버, 구글, 다음, Bing, 줌)의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주요 포털사이트 특징 및 장단점
포털 | 주요특징 | 장점 | 단점 |
Naver | 국내 최대 포털, 통합검색·지식인·블로그·카페 중심 | - 방대한 콘텐츠(뉴스, 블로그, 웹툰 등) - 커뮤니티 및 사용자 참여형 서비스 활발 - 로컬/쇼핑/예약 등 생활 밀착형 서비스 강함 |
- 폐쇄적 검색 결과(외부사이트 노출 적음) - 광고 많음, 검색 결과의 상업성 논란 |
글로벌 1위 검색엔진, 간결한 UI, 정확도 높은 알고리즘 | - 검색 정확도 및 속도 우수 - 다양한 언어/전문정보에 강함 - 유튜브, 지메일, 지도 등 글로벌 서비스 연동 |
- 국내 로컬 정보, 상업적 콘텐츠 부족 - 한글 기반 커뮤니티 검색엔진 약함 |
|
MS Bing |
MS기반 검색엔진, AI 및 Copilot 통합 강화 | - 윈도우/엣지 통합, 접근성 좋음 - ChatGPT 기반 AI 검색(Chat, 이미지 생성 등) - 이미지/비디오 검색 우수 |
- 국내 정보/사이트 노출 약함 - 초기 화면·UI 친숙도 낮음 |
Daum | 뉴스·카페 중심 포털, 카카오 연동 서비스 보유 | - 뉴스 큐레이션에 강점 - 카카오 서비스(메일, 카카오TV 등) 연동 용이 - 한때 강력한 커뮤니티 기능(카페 등) |
- 전체 서비스 노후화, 트래픽 감소 중 - 네이버에 비해 콘텐츠 다양성 부족 |
ZUM |
뉴스 중심 중소 포털, 사용자 취향 기반 맞춤 콘텐츠 | - 깔끔한 UI, 실시간 이슈에 강함 - 광고/상업성 적고 콘텐츠 중심 |
- 트래픽 적고 검색 기능 약함 - 사용자층 한정, 커뮤니티 기능 부족 |
소비자 트랜드를 보면 국내 정보/생활 중심으로 네이버, 다음을 이용하고 있고, 정확도 높은 전문 검색은 구글, AI 기반 검색 경험은 Bing을 사용하고 있으며, 심플하고 광고 적은 뉴스형 포털은 줌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소비자 트랜드 전체 흐름
트렌드 | 소비자 변화 |
AI 검색/추천 | 질문 기반 대화형 검색 증가 (ex. 구글, Bing, 네이버 서치GPT) |
커머스 통합 | 포털 안에서 검색 > 쇼핑 > 결제까지 원스톱 소비 (ex. 네이버) |
앱 생태계 중심화 | 카카오톡, 유튜브 등 모바일 앱 기반 정보 접근 확대 |
광고 회피 성향 | 광고 적은 포털(ex. 줌)이나 SNS로의 이동 가능성 증가 |
로컬 vs 글로벌 | 국내 실생활 정보는 네이버, 글로벌 지식 탐색은 구글로 분화 |
5대 포털사(네이버, 구글, 다음/카카오, Bing, 줌)가 지향하는 사업 전략을 기반으로, 향후 소비자 패턴 변화를 예측 분석입니다.
포털사이트 전략 방향과 향후 소비자 패턴 분석
포털사 | 사업전략 방향 | 향후 소비자 패턴 변화(현재) | 소비자 패턴 변화 예측(미래) |
Naver | 검색 + 콘텐츠 플랫폼 + 커머스 | - 검색 고도화 (AI 서치 GPT) - 네이버 쇼핑/페이/스마트스토어 생태계 강화 - 웹툰/웹소설 등 콘텐츠 IP 확장 - 일본·동남아 해외 진출 가속 |
- 검색보다 ‘추천 콘텐츠’ 소비 증가 - ‘검색 > 상품구매’의 자연스러운 흐름 강화 - 네이버 앱 내에서 대부분 해결하는 ‘닫힌 생태계’ 충성도 강화 |
Google |
글로벌 검색 + AI + 클라우드 생태계 | - 검색에 Gemini (AI 챗봇) 도입 강화 - 유튜브 중심 콘텐츠 소비 확대 - 클라우드/앱 생태계 통합 강화 (Android, Chrome 등) |
- 질문 기반 검색 증가 - 유튜브·영상 기반 검색 선호 증가 - 앱·기기와 연결된 AI 비서 사용 증가 (Google Assistant, Gemini 등) |
MS Bing |
AI 중심 검색 + 생산성 도구 연계 (Copilot) |
- ChatGPT 기반 대화형 검색 확대 - 오피스, 엣지, 팀즈 등 MS 생태계 연계 - AI 이미지·문서 생성 기능 통합 |
- 문서 작성 중 검색·생성하는 업무 중심 AI 검색 사용 증가 - PC 기반 사용자층에서 확산 - 이미지/코드/문서 등 “검색+생성” 혼합 경험 기대 |
Daum | 모바일 메신저 + 미디어 + 금융/모빌리티 연계 | - 카카오톡 중심 통합 플랫폼 지향 - 뉴스, 쇼핑, 금융, 예약 등 “톡비즈” 생태계 집중 - 다음 포털은 미디어 중심으로 재정비 |
- 검색보단 카카오톡 내 바로가기 선호 - 대화형 UI 통한 상품·서비스 접근 증가 - ‘다음’ 보다 ‘카카오톡’을 정보 포털로 인식 |
ZUM | 뉴스 큐레이션 + 맞춤형 콘텐츠 제공 | - 과도한 광고 없이 뉴스·이슈 중심 UI 유지 - 검색보단 큐레이션·실시간 트렌드 제공에 집중 - 틈새 포털 전략 |
- 심플하고 광고 없는 환경 선호층 유지 - 실시간 이슈 소비 위주로 짧고 빠른 정보 탐색 - 포털보다 SNS나 메신저 플랫폼으로 분산 가능성도 있음 |
AI 기반 검색·추천 시스템 고도화, 광고/상업성 최소화된 UX 설계, 앱/서비스 내에서 모든 니즈를 해결할 수 있는 슈퍼앱들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향후에는 더 똑똑하게 요약해주고, 이용을 방해하지 않고, 사용자가 더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어야 선택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재 여러분들은 어떤 포털을 이용하고 계신지요? 포털사가 지향하고 있는 서비스 및 기능의 변화를 살펴보시면서, 이용하지 않던 포털도 어떤 개선된 서비스가 있는지 한번쯤 사용해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MS오피스 무료 사용 | 워드, 엑셀, PPT, OneDrive 제공
MS오피스 무료 사용 방법MicroSoft 365 웹 버전(엑셀, 워드, 파워포인트 등)를 무료로 사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다음은 MS오피스무료로 합법적이고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withw.tistory.com
미리캔버스 무료 사용법 정리|디자인 초보도 가능한 꿀팁!
미리캔버스 무료 사용법 | 다운로드 없이 사용 가능 방법‘미리캔버스’는 한국어에 최적화된 대표적인 무료 온라인 디자인 플랫폼으로, 별도의 디자인 프로그램 없이도 웹에서 손쉽게 콘텐츠
withw.tistory.com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nva로 인스타 피드 만들기! 무료 템플릿 100% 활용하는 법 (346) | 2025.06.17 |
---|---|
Canva 무료 사용 방법 총정리|결제 없이 100% 사용하는 꿀팁! (306) | 2025.06.15 |
미리캔버스 무료 PPT 만들기 - AI 프리젠테이션 (220) | 2025.06.13 |
미리캔버스 무료 100% 활용하기 | 미리캔버스 무료 사용 방법 (156) | 2025.06.13 |
미리캔버스 썸네일 만들기|무료 사용법 및 디자인 꿀팁! (252) | 2025.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