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기 설치 보조금, 신청 방법(2025기준)
2025년 보조금 신청 방법에서 달라진 점은 2025년부터는 스마트제어 기능 탑재 충전기만 보조금 대상에 포함되며, 공동주택·단독주택·사업장 등 설치 장소에 따라 지원 조건과 절차도 크게 달라졌습니다.
환경부와 지자체는 충전 인프라 확대를 위해 완속·급속 충전기 설치비의 최대 50%까지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공동주택의 경우 동의서 제출, 유지보수 계약 등 세분화된 절차가 요구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전기차 충전기 설치 보조금, 공동주택·단독주택 신청조건, 지원금액, 신청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차 충전기 설치 신청 자격
신청유형 | 대상 | 자격 요건 및 조건 |
공동주택 | 아파트, 오피스텔 등 주차면 확보된 공동주택 | 부지 소유자 또는 입주자대표회의 동의 필요 (주택 유형에 따라 80% 이상 동의) |
단독·다가구주택 | 자가 단독주택, 다가구, 연립 주택 등 | 주택 소유자 본인 신청 가능 별도 동의서 불필요 |
사업장 및 공공시설 | 기업, 공공기관, 상업시설, 공영주차장 등 | 충전사업자 등록 가능 장소 사업장 소유자 또는 관리자 동의 필요 |
충전사업자 | 민간 충전사업자, 전기차 충전 인프라 기업 | 공용 충전소 설치 목적 환경부 또는 전기안전공사 기준 충족 필요 |
전기차 충전기 설치 신청 절차
① 공고 확인, 사업 대상·예산 파악
- 환경부 및 지자체 공고문 확인 필수
- 예산 선착순 소진되므로 신청 일정 및 잔여 예산 꼭 체크
② 현장 조사 및 동의서 확보
- 신청 전 현장조사 예약 및 설치 위치 검토
- 동의서 확보: 입주자대표, 건물주, 공동소유주 등 관련 동의서 서류 준비
③ 설치사업자 선정 및 견적 받기
- 스마트 제어·BMS 탑재 충전기 설치 가능 사업자 선정
- 설치 범위, 전력 증설 필요 여부, 총비용 산정
④ 신청서 작성 및 제출
- 무공해차 통합누리집(ev.or.kr) 또는 지자체 ‘충전기 설치 보조금’ 페이지에서 온라인 접수
- 주요 제출 서류: 건축물대장, 설치 위치 사진, 동의서 및 입주자 명부, 충전기 모델 및 설치 사업자 계약서
⑤ 심사 및 승인
- 사업 수행기관에서 환경공단(지자체) 순으로 서류 확인 및 현장 심사
- 승인 통보 후 보조금 차등 지급 여부 및 설치 일정 확정
⑥ 설치 및 검수
- 사업자가 충전기 설치 및 기능 점검
- 설치 완료 후 완료 확인서 제출이후 지자체/환경공단 검수 진행
⑦ 보조금 지급
- 검수 완료 후 신청자 명의 계좌로 보조금 입금
- 지급까지 보통 14일 이내 이며, 지역별로 차이 있음
단계 | 주요 내용 |
신청 자격 | 공동주택(동의 요건), 단독주택(소유자), 사업장/충전사업자 |
절차 | 공고 확인 → 현장조사·동의서 → 사업자 선정 → 온라인 신청 → 심사 승인 → 설치 → 검수 → 보조금 지급 |
서류 | 건축물대장, 동의서, 설치 계약 및 사진 등 |
유의사항 | 사전 승인 필수, 예산 선착순, 유지 의무, 환수 가능성 |
공동주택 VS 단독주택
- 공동주택:
- 보조금 받기 유리하며, 스마트제어 완속 및 급속충전기 설치 시 설치비 최대 50% 또는 kW 기준 지원이 가능합니다.
- 동의서, 현장심사, 유지보수·개방 의무 등 요구조건이 많고 절차가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 단독주택:
- 환경부·지자체 공통 지원 대상은 아니며, 보조금을 받으려면 서울시 ‘집으로’ 같은 일부 지자체 사업을 찾아봐야 합니다.
- 급속보다는 220V 콘센트형 또는 7kW 고정형 완속충전기 위주로 설치되며, 자비 부담이 대부분입니다.
단독주택의 경우, 전국 공통의 환경부·지자체 보조금 적용 대상은 아니지만, 일부 지자체별 특화사업을 통해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만약 설치 장소가 사업장·공공시설로 분류되거나 소상공인이 영업용으로 충전기를 사용하는 경우, 별도 협의 후 지원될 수 있습니다
단독주택 보조금 지원 현황
환경부·한국환경공단 공동 사업
- 단독주택(비공용 충전기)은 기본적으로 지원 대상이 아닙니다 다만, 만약 설치 장소가 사업장·공공시설로 분류되거나 소상공인이 영업용으로 충전기를 사용하는 경우, 별도 협의 후 지원될 수 있습니다
지자체 특화사업 (예시)
- 서울시: ‘집으로’ 프로그램 등에서 단독주택용 충전기 설치 시 일부 보조금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자세한 내용은 해당 지역 구청 확인 필요)
- 기타 기초지자체: 몇몇 지자체는 단독주택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공고 및 시범 사업을 수시로 운영하며, 보조금 수준은 지자체별로 크게 다릅니다.
설치 비용 & 참고 금액 (단독주택 기준)
- 충전기 + 설치공사비: 보통 89만~130만 원 수준
- 한전 계량기 증설비(7 kW 기준): 총비용은 약 200만~300만원 가량 소요될 수 있습니다.
- 공중공급 약 48만~60만 원
- 지중공급 약 77만~96만 원
[ 전기차 충전기 설치 절차]
- 거주 지역(시·군·구) 사이트 방문 ⇒ ‘전기차 충전기 설치 지원’ 공고 검토
- 구청 또는 환경과 문의 ⇒ 단독주택 보조 가능성 직접 확인
- 단독주택 지원사업이 있다면, 충전기 모델, 설치비, 계량비 등 포함 지원목록 확인
- 지원사업 참여 시 ▶ 설치사업자 선정 → 온라인 신청 → 설치 → 서류 제출 및 보조금 지급
단독주택의 경우, 환경부·환경공단 통합사업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지자체 정책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관할 지자체 상황에 따라 보조금 유무가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으니, 구청·군청 환경·교통 분야 부서에 직접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2025년에는 전기차 충전기 설치와 관련된 보조금 정책이 더 체계적이고 까다로워진 만큼, 지원 대상과 조건을 정확히 알고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보조금은 선착순 예산 소진 방식이 많기 때문에, 설치를 고려하고 계신다면 빠른 신청과 충전사업자 상담이 먼저 선행되어야 합니다.
공동주택의 경우 동의서와 유지 조건이 필요하고, 단독주택은 대부분 자비 부담이지만 지자체별로 예외 지원 사례도 있으니 꼭 확인해보시고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2026년 전기차 충전기 설치 보조금 총정리!
2026년 전기차 충전기 설치 보조금전기차를 구매하거나 충전 인프라를 갖추려는 분이라면, 2026년 전기차 충전기 설치 보조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환경부와 지자체는 매
withw.tistory.com
전기차 충전기 설치 업체 추천 | 장단점, 보조금 연계 총정리
전기차 충전기 설치 업체 추천 전기차 보급이 급증하면서 충전기 설치 수요도 함께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충전기 설치는 단순 시공을 넘어 보조금 신청, 유지관리, 스마트제어 기능 여부 등 고
withw.tistory.com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습제 추천 | 공간별, 재사용 친환경 제품까지 총정리! (157) | 2025.06.25 |
---|---|
제습기 VS 제습제, 같이 써야 효과 있을까? 병행사용 장점! (230) | 2025.06.25 |
전기차 충전기 설치 업체 | 장단점, 보조금 연계 총정리 (171) | 2025.06.25 |
2026년 전기차 충전기 설치 보조금 총정리! (168) | 2025.06.24 |
2025 남자 헤어스타일 추천 | 얼굴형별 커트 머리 종류 & 스타일링 가이드 (260)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