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 해나루쌀 - 국가대표 신유빈
당진에 내려와서 살게되니 자연히 먹거리에도 관심을 더 갖게 됩니다. 오가면서 직접 농사짖고 수확하는 모습도 실제로 보게되니, 쌀은 물론이고 토마토, 쪽파, 마늘, 양파, 감자, 고구마 등 다양한 농산물 뿐만 아니라 사과, 배 등 과일도 현지에서 구매해서 먹고 있습니다.
처음 당진와서 농협에 쇼핑가면 해나루 해나루 하는데 해나루라는 이름이 너무 정겹게 들렸습니다. 자연히 관련 상품들도 많이 찾아 보게 되었습니다. 한국인은 밥심으로 산다는데 밥순이인 저로써는 쌀이 지역에서 브랜드화되서 판매되는게 너무 반가웠습니다.
여러분도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해나루'의 의미에 대해서 포스팅해 드리고, 해나루쌀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해나루’의 유래와 의미
- ‘해’: 해가 뜨고 지는 서해안의 일몰 명소로 유명한 당진의 자연 경관을 상징합니다.
- ‘나루’: 옛날 강가나 바닷가의 포구를 뜻하는 말로, 당진이 과거부터 나루터 문화가 발달한 곳이라는 점을 담고 있습니다.
“해가 떠오르고 지는 나루터”
해나루는 '해가 뜨고 지는 나루터'라는 의미인데, 당진만의 지리적 특성을 표현한 것이다. 순수한 우리말의 합성어로 깨끗하고 신선한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해나루의 서체는 전통적인 붓글씨의 느낌을 살리면서 현대적인 이미지를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벼 이삭을 붉은색 인장으로 표현해서 해나루의 우측 하단에 위치시킴으로써 고품질 당진 쌀 해나루의 신뢰성을 나타냈다.
‘해나루’는 당진의 따뜻한 햇살과 깨끗한 자연환경에서 자란 농산물과 옛날부터 물류와 문화가 오갔던 전통적인 농업지역의 정체성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 2005년 당진시가 공식 출범한 브랜드입니다.
해나루라는 명칭은 공모를 통해 선정되었으며, 지역의 전통성과 청정 이미지를 함께 담은 상징어로 자리잡았습니다.
브랜드 개발 배경
- 지역 농산물의 경쟁력 강화: 당진시는 다양한 농산물을 생산하고 있었으나, 개별 브랜드로는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판단하에 통합 브랜드 개발을 추진했습니다.
- 농가 소득 증대: 브랜드화를 통해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이를 통해 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키고자 했습니다.
- 지역 경제 활성화: 브랜드 농산물의 판매 확대를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자 했습니다.
당진시는 예로부터 먹거리가 많아 당나라와 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물류의 중심지역이었을 뿐만 아니라 기름진 평야와 풍부한 관개용수로 품질 좋은 농산물을 생산하는 인심 좋기로 소문난 고장입니다.
해나루 쌀의 특징
1. 최적의 재배 환경
- 당진은 서해안의 넓은 평야지대로, 연평균 일조 시간이 1,490시간으로 전국 평균보다 높고, 결실기 일교차가 6.2℃로 벼 생육에 이상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 밥맛에 영향을 주는 유기물, 칼륨, 칼슘, 마그네슘, 규산 등의 함량이 타 지역보다 높아 쌀의 품질이 우수합니다. [출처: 당진팜]
2. 엄격한 품질 관리
- 생산자는 단일 품종으로 계약 재배하며, 친환경 비료를 사용하고 질소 비료의 사용을 제한하여 토양을 개선합니다.
- 수확한 벼는 수분 함량 16%를 유지하며 보관되고, 1~2일 이내 출하 가능한 양만 가공하여 신선도를 유지합니다.
- 가공 후 20일이 지난 제품은 회수하여 품질을 철저히 관리합니다. [출처: 당진문화대전]
3. 다양한 수상 경력
- 해나루 쌀은 2005년 국제 품질 및 환경 인증을 시작으로, 2010년 대한민국 브랜드 대상, 2012년 전국 고품질 쌀 생산 대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하며 품질을 인정받았습니다. [출처: 당진문화대전]
해나루쌀 제조(생산) 방법 및 특징
당진시는 고품질 해나루 쌀을 생산하기 위해 품질 관리 기준을 마련했고, 그에 따라 생산자와 해나루 쌀 재배 표준 계약을 한다. 계약은 건조 보관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한 개 품종만 선택하고, 특과 1등만 수매한다. 생산자는 볏짚과 규산 시용 등 자력 증진의 의무를 지켜야 한다. 또 질소 비료 표준 시용량은 10a당 11~12㎏을 넘어서는 안 된다. 해나루 쌀 재배 표준 계약은 다음과 같다.
1. 생산적 측면: 한 개 품종으로 계약해 재배하며 친환경 비료를 사용한다. 객토와 규산 사용 볏짚 깔아 주기 등으로 질소질을 감축하고 토양을 개량한 논에서 생산한다.
2. 수매적 측면: 계약 재배한 벼 중 쓰러지지 않은 알곡만을 수매한다. 품종별 수분 16%를 유지해 보관한다.
3. 가공 유통 측면: 1~2일 이내 출하 가능량만을 가공한다. 유통 기한과 품종을 표시하고 가공한 지 20일 이후에는 회수한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캐릭터 '쌀동자'
해나루 쌀의 마스코트인 '쌀동자'는 한복을 입은 어린아이의 모습으로, 벼 이삭을 머리에 얹어 당진 쌀의 전통성과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를 강조합니다.
삼광쌀이란?
삼광쌀은 대한민국에서 널리 재배되는 프리미엄급 고품질 벼 품종으로, 특히 밥맛이 뛰어나고 저장성이 좋아 소비자와 농가 모두에게 인기가 높은 품종입니다.
품종명 | 삼광벼 (Samkwang) |
개발 시기 | 2005년 (국립식량과학원) |
주요 재배지 | 충남 당진, 전북 익산, 경기 여주 등 |
출수기 | 중생종 (7월 하순경) |
도복 저항성 | 강함 |
병해충 저항성 | 중간 이상 |
삼광쌀의 주요 특징
1. 밥맛이 매우 우수함
- 찰기, 윤기, 단맛이 조화를 이루며, 탄력이 좋고 차진 식감이 특징입니다.
- 식은 후에도 맛이 떨어지지 않아 도시락, 김밥용으로도 적합합니다.
2. 알이 굵고 모양이 좋음
- 쌀알이 짧고 둥글며 윤기 있는 백색으로, 외관 품질이 매우 좋습니다.
- 보기에도 예쁜 쌀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3. 도정·보관 적성 우수
- 도정 시 부서짐이 적고, 보관 중 품질 유지력이 강해 유통에 유리합니다.
- 수확 후 보관성이 뛰어나 가정에서도 오래 두고 먹기 좋습니다.
4. 재배 안정성
- 쓰러짐에 강하고 병해에도 비교적 저항성이 있어 농민들이 재배하기 수월합니다.
삼광쌀 사용 브랜드 예시
- 해나루쌀 (충남 당진) – 해나루 브랜드 대표 품종
- 임금님표 이천쌀 (경기 이천) – 삼광쌀이 주요 품종 중 하나로 사용됨
- 홍천찰쌀, 청원생명쌀 등 여러 지역 프리미엄 브랜드에 활용
사실 저도 초보 주부일 때는 삼광쌀이 무슨 브랜드인줄 알았는데 쌀 품종이더라구요. ~^^
포스팅을 하기위해 해나루에 대해서 알아보아보면서, 저 또한 더 많이 공부를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하나씩 글을 쓸 때마다 내가 사는 고장에 대한 자부심과 애정이 더 깊어져가는 것 같습니다.
2025 당진 관광객 인센티브 사업 - 현금지원
2025년 당진시 개별 관광객 인센티브 지원 계획 공고 당진시는 2025년 개별 관광객과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여행 인센티브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당진 관내에서 여행으로 소비한
withw.tistory.com
당진시 관광안내 리플릿 - 해양관광편
당진시 해양관광편 공유 왜목마을은 해안이 동쪽으로 돌출된 지형으로, 일출과 일몰을 모두 감상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해가 노적봉에 걸리는 11월부터 3월까지의 일출은 한 폭의 그림처럼 아름
withw.tistory.com
당진시 관광안내 리플릿 - 문화관광편
당진시 문화관광편 공유 아미미술관은 지인들께 반드시 추천하는 곳이고, 봄에는 순성 벗꽃과 같이 볼 수 있어서 더욱 좋습니다. 방문하실 때 어떤 작가분의 전시가 있는지 사전에 정보를 확인
withw.tistory.com
'충남당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진 한진포구 - 서해대교가 보이는 바닷가 명소 (78) | 2025.05.25 |
---|---|
당진 '서해대교' VS 샌프란시스코 '금문교' 알고 달려야죠! (137) | 2025.05.23 |
당진시 관광안내 리플릿 - 역사관광편 (190) | 2025.05.20 |
당진시 관광안내 리플릿 - 문화관광편 (105) | 2025.05.19 |
당진시 관광안내 리플릿 - 성지순례편 (113) | 2025.05.18 |